한의학의 진단법은 합리적인가?

shutterstock_173985155-326x245
처음 한의원을 방문해 진단을 받는 사람들이 공통점으로 당혹감과 의아함을 느끼는 부분이 있다. 의사들과는 다르게 한의사들은 보통 지금 환자가 겪는 불편함 들과는 전혀 상관이 없어 보이는 부분들을 더 자세히 살펴보고, 또 상관이 없어 보이는 사항들에 대해 자세히 물어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허리가 아프다는데 손목을 짚어보고 얼굴빛, 혀의 모양을 살피는 것은 기본이고, 귀나 코의 모양을 자세히 들여다 보는가 하면 심지어 대소변의 모양과 색까지도 물어보는 이런 색다른(?) 진답법에 적잖이 당황하게 된다. 이러한 한의학 진단법에 익숙치 않은 사람들에게는 이 순간이 무척 의아할 수 있겠지만, 단순히 본인의 지금까지의 경험(이를 테면 일반 병원에서의 진료경험)과는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한의학의 독특한 진단과정을 비과학적이고 비합리적이라고 폄하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은 참으로 유감이다.

현대의학이 우리 몸을 부분적으로 나누고 분석하여 진단하고 거기에 맞춘 치료를 행한다면, 우리몸을 전체적으로 묶어서 분석한 후에 그에 맞춘 치료를 행하는 한의학 이론은 같은 질병이라 해도 현대의학과는 서로 상이한 진단법과 치료법을 사용해 접근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한의학적인 진단명이 현대의학을 하는 의사들에게는 별 의미가 없는 것처럼, 현대의학적 진단을 통한 병명들 또한 한의사들에게는 별 의미가 없다. 그렇기에 한의학적인 치료는 반드시 한의학적인 진단법을 통해 변증한 한의학적인 병명(?)에 따라 행해져야만 비로서 그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손목의 일부분만을 잡고 살피면서 보이지 않는 오장육부의 상태를 논하거나, 혀의 색을 살펴보며 몸 전체의 한열을 이야기 하는가 하면, 손톱에 생긴 줄무늬를 보고 심장의 이상을 논한다. 이러한 진단법의 원리는 ‘인체는 소우주’라는 한의학만의 독특한 개념에 기인하는데, 인체는 전체 우주의 법칙을 반영하고 더 나아가 각각의 인체 부위는 우리 몸의 전체 상태를 반영한다는 이 독특한 개념은 한의학 전체의 기본틀을 형성한다.

손목의 맥을 상중하로 나누어 상부의 맥인 촌맥은 상체의 병증을 점검하는데 사용하고, 중초의 관맥과 하초의 척맥은 각각 인체의 복부와 하체의 병증을 점검하는데 사용하는 맥진법이 그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또 얼굴의 특정부위를 보고 진단하는 망진법 또한 마찬가지이다. 얼굴 전체를 몸에 대응하여, 이마는 심장, 턱은 신장, 코는 비위, 좌측 뺨은 간, 우측 뺨은 폐에 해당한다고 보아 각 부위의 얼굴색이나 피부의 상태를 미루어 짐작하기도 하고, 또 귀만을 따로 떼어 몸 전체에 대응하여 각각의 대응점을 눌러보면서 몸의 전체적인 이상을 짐작한 후에 더 자세한 진단에 들어가기도 한다.

이러한 소우주 이론은 진단에서 뿐만 아니라, 한의학적인 치료에도 직접적으로 응용 된다. 귀를 사용하는 이침 요법의 경우, 통각으로 반응하는 각각의 대응점들은 진단뿐 아니라 침치료에 사용되는 경혈이 되기도 한다. 또 한의학에서 사용하는 경혈과 경맥은 우리 몸의 전체 상태를 읽어내기 위한 일부분으로서 사용되지만, 인체의 전체적인 균형을 자극하여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일부분으로도 사용된다. 신장의 기능이 안 좋아지면 발바닥 가운데 위치한 용천혈이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바로 이 용천혈을 신장의 균형을 회복시키기 위한 주 경혈로서 사용하는 식이다.

그렇다면 현대 과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볼때 이러한 한의학식 진단법과 치료법에는 어느정도의 합리성을 갖추고 있을까? 아직은 가설단계에서 다양한 검증을 받고 있는 상태지만, 현대 물리학에 따르면 이 한의학의 ‘소우주론’은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또 희자되고 있는 꽤 진보적인 물리 이론중의 하나인 ‘프랙탈이론’과 놀라울 만큼 닮아있다. 아직은 가설 단계에서 다양한 검증을 받고 있는 ‘프랙탈 이론’의 핵심은 ‘부분이 전체를 대변한다’는 개념으로 이는 한의학에서 말하는 ‘소우주’ 개념과 원리상 동일하다. 이 이론에 따르면 언제나 부분은 전체를 닮는 자기 유사성과 복제성을 지니고 있기에, 가장 작은 구조의 연구를 통해서 가장 큰 구조인 전체 우주의 모습과 생성과정을 밝힐 수 도 있고, 좀 더 큰 구조물의 연구를 통해 아직까지는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구조의 원리도 파악이 가능하다는 이론이다. 거시적으로 보면 별-은하-은하군-은하단-우주에 구조적인 유사성이 있고, 미시적으로 보면 소립자-원자-분자-세포 소기관-세포-인체부위-인간도 크기는 다르지만 구조적으로 닮아있다는 것이 이 이론의 요체다.

이 프랙탈 이론이 주장하는 것처럼 이러한 관계가 소립자에서 우주전체까지 모두 적용될 수 있다라면, 그 일부분이 되는 인체와 인체의 부위에서도 당연히 같은 원리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전통적인 이 한의학적인 진료법들은 사실 그 근간에 이미 꽤나 타당한 과학적 합리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미 현대의학에서도 피 한 방울을 분석해 췌장의 상태를 파악하고(당뇨), 소변을 통해 신장과 간의 상태를 분석하며, 손가락 관절의 변형을 보고 전신 면역질환의 일종인 류마티즘을 진단하는 식으로 이 ‘프랙탈 이론’을 인정하고 임상에 적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혈액의 구성요소를 분석해 오장육부의 상태를 파악하는 현대의학은 합리적이고, 피의 흐름(진맥)을 통해 오장육부의 기능을 파악하는 한의학은 비합리적이라는 생각은 그 자체로 이미 큰 모순 덩어리인 것이다.

이처럼 ‘부분이 전체를 대변한다’는 수 천년 전의 한의학 원리가 첨단을 대표하는 현대물리학과 현대의학의 진단법들을 통해 다시 한번 증명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은,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가진 한의학은 비합리적이다라는 편견 자체가 사실은 더욱 더 비합리적이라는 사실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