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진단이 중요한 몇 가지 두통 증후군(3)

kosumin_enews4989 ad
흔히 두통이라 하면 긴장성 두통(tension headache)과 편두통(migraine)이 일반에 널리 알려져 있다.
긴장성 두통과 편두통은 그만큼 매우 흔한 일차성 두통(primary headache)의 형태로 대부분 누구나 일생에 한 두 차례 평균적으로 경험한다고 한다.
긴장성 두통이라고 하면 흔히 머리에 머리띠 또는 밴드를 두른 듯한, 주로 조이는 느낌을 유발하는,
말 그대로 머리 주위 근육의 긴장(tension) 즉 근육의 수축(muscle contraction)으로 나타나는 통증이다.
보통은 과도한 스트레스나 다른 여러 원인들에 의해 유발되는 두통으로 그 치료 또한 그리 어렵지 않은 매우 착한(?) 두통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편두통은 머리 속, 정확히는 뇌를 구성하는 신경세포의 문제로 야기되는 매우 복잡한 형태의 두통 증후군이다.
최근 들어서는 편두통을 과거 머리 주의의 혈관의 수축으로 야기된다고
알려진 “혈관성 두통(vascular headache)”라는 낡은 개념에서 벗어나 뇌 자체의 질병, 즉 뇌질환(brain disorder)의 하나로 간주하고 있다.
질병이 어떻게 발생하는가에 대한 이해가 연구와 더불어 질병의 정의가 진화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질병의 대한 연구가 진행될 수록 우리는 질병의 더욱 정확한 모습을 알게 되는데, 편두통이야 말로 그 대표적인 예 가운데 하나이다.

필자는 여러 주에 걸쳐 매우 특이한 이름의 두통 증후군을 소개하였다.
이 또한 최근의 활발한 연구 활동으로 그 개념이 정착되어 가는 두통 증후군이다.
이름하여 ‘지속성 반두통(hemicrania continua)’과 ‘SUNCT’라고도 불리는 ‘결막 충혈과 눈물을 동반한 단기 지속성 신경통형 두통 발작’이라는 긴 이름의 두통 질환이 바로 그것인데,
최근의 많은 연구 결과 덕분에 이러한 특이한 형태의 두통에 대해 더 정확히 알게 되었다.
그 가운데 매우 흥미로운 사실 중 하나는 이러한 두통이 일어나는 과정 가운데 뇌의 깊숙한 곳의 중요한 구조물의 하나인 뇌간(brain stem)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뇌간은 가장 윗부분의 중뇌(mid-brain), 가운데 부분인 교(pons), 그리고 가장 아랫 부분인 연수(medulla oblongata)의 세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뇌간의 뒷 부분에는 운동 및 평형감각의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뇌가 위치하고 있는데, 뇌간으로 부터 여러 가닥의 신경다발들이 들어가고 나오며 상호 매우 긴밀한 역할을 하고 있다.
뇌간의 아래로는 뇌로부터 나오는 척수 신경 다발이 지나가는 척수(spinal cord)가 이어지고 있다.
아무튼 이 위로는 대뇌, 뒤로는 소뇌, 아래로는 척수와 연결 되어진 사통팔달의 뇌간이라는
구조물에는 뇌에서 나오는 12쌍의 뇌신경 가운데 가장 큰 신경 중 하나인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삼차신경의 신경 다발에 포함되어 있는 자율신경의 이상에 의해 매우 독특한 증상들이 두통과 함께 나타난다는 점이 최근의 연구들을 통해 밝혀지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얼마 전부터는 국제 두통 학회(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에서는
좀더 구체적으로 위에 열거한 특이한 이름의 두통 증후군을 통틀어 ‘삼차신경 자율신경성 두통(trigeminal autonomic cephalalgias, TACs)’라고 명명하기도 하였는데,
필자가 지난 컬럼들에서 언급한 ‘지속성 반두통(hemicrania continua)’이나,
‘SUNCT’라고도 불리는 ‘결막 충혈과 눈물을 동반한 단기 지속성 신경통형 두통 발작’이라는 두통들이 이 범주에 속하는 대표적인 두통이라고 할 수 있다.
만성 편두통을 위시하여 대부분의 만성 또는 일반적인 진통제로 다스리기 쉽지 않은 두통의 대부분은 다름아닌 새로운 개념의 ‘뇌질환(brain disorder)’이라는 셈이다.
‘삼차신경 자율신경성 두통(TACs)’과 같은 질병과 유사한 두통 증후군은 특징적으로 치료에 매우 반응을 잘하여, 치료의 시작과 더불어 극적으로 호전되므로,
무엇보다 정확한 진단이 매우 중요한 두통들 가운데 하나라고 하겠다.

*신경내과전문의 및 의학박사 임정국(상담 문의: 임정국 신경내과 703-277-3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