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디엠과 상투 묫자리

Carpe diem이란 말은 원래 호라티우스의 싯구절에서 발췌되어 사용되다가 <죽은 사회의 시인>이라는 영화에서 인용되어 더욱 대중에게 알려진 라틴어 경구이다. 본디 carpe는 ‘잡아뽑다’ ‘사로잡다’ 라는 뜻이고 diem은 dies에서 격변화된 것으로 영어로는 day에 해당된다. 그래서 seize the day, pluck the day 쯤으로 옮길 수 있을 것이다. 우리말로는 ‘하루를 충일하게’ 또는 ‘현재를 즐겨라’라고 그 정도로 의역되고 있는걸로 알고 있다.

 

 

해를 넘기며 또다른 해를 맞으며 어느 해인들 아니 그렇겠는가 만은 지난해도 어김없이 완전 다사다난했다. 태평양의 이쪽과 저쪽 모두 세상이 뒤집어지는 듯한 일들이 벌어졌으나 그렇다고해서 우리의 일상이 크게 바뀌거나 엎어지지는 않았다. 암선고를 받은 우리 이쁜이 집사님은 여전히 투병중이시고, 얼마전 아들 결혼을 시킨 친구도 이제는 할머니가 될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리고 오늘 눈오는 날 모처럼 호젓한 정취에 젖어들어 불밝힌 창가에 성기게 내리는 눈송이를 바라다 본다. 소리없이 떨어지는 함박눈이 주는 연상이었을까… 지나간 시절 떠오는 장면이 있었다.

 

 

그날도 문틈사이로 떨어지는 거위털 같은 눈송이를 망연히 바라보는데 “에구! 내가 살아 상투가 있나 죽어 묫자리가 있나” 들려오는 친정엄마의 목소리에 내심 못마땅해 했다. 묫자리 운운하는걸 보니 아마 아버지가 돌아가신 해 그 무렵이 아니었나, 하는데 김장을 마친 친정 엄마가 허리를 피며 휴! 하며 한숨과 함께 내뱉은 말이었다. 내귀에 거슬리는 상투며 묫자리등 까닭모르게 불길하기도 했고, 당시에는 괴팍스런 생색을 부린다 여겼던것 같다. 반복되는 푸념으로만 기억되고 있는 것이 지금 생각해도 이상하고 불효하지만 엄마의 나이가 청상도 아니었고, 생각해보면 채 오십이 안된 과부로서 무슨 허연 할머니처럼 굴던 청승이 아마 고까왔던 것 같다.

 

 

왜 그렇지 않았을까. 아버지의 부재로 세파를 헤쳐나갈 사회적 보호막같은 상투가 없었고, 바람막이라도 해야 될 남동생들은 둘씩이나 군대에 묶여있었다. 그렇다고 포기하자니 그후의 뒷수습이 의심스러울 정도의 막연함이 서로 엉켜붙어 저절로 떠오르는 무력감이었을 것이다. 본인에게 닥친 뻔한 애로가 김장이라고하는 예사아닌 육체노동과 맞물려 특유의 한풀이로서 시골 아낙을 흉내내 불쑥 뱉은 말이었을 것이다. 당시의 사람들이 흔히 그랬듯 그렇게 푸념하여 뱉어냄으로써 심리적으로는 피할 수 없는 운명과 그것과의 조우함에 있어 자기의 봇짐으로 인정하고 스스로에게 요구되는 각오와 다짐을 심리적으로 다잡는 어떤 벼랑끝 전술이나 배수진의 각오같은 것일텐데 그걸 내가 모른채 했다.
아마도 그때 김장을 마치고 유창하게 ‘카페 디엠’이라고 외쳤어도 어쩌면 나는 그런 엄마가 또다른 이유로 곱지 않았을 것 같다.

 

 

하여간 지금와 생각해보면 카페 디엠이 되었건 ‘살아 상투가 있나 죽어 묫자리가 있나’ 가 되었건 조금만 더 들여다보면 극과 극은 통하는 것처럼 그저 문화적 표현이 달라 그렇지 필경 본질적으로 같은 뜻의 서로 다른 소리값이라고 보아야 옳았다. 다시말해 그 둘은 출발과 경유를 달리하는 같은 지점으로의 도착일 것이다.
분명한 것은 치열한 오늘의 퇴적이 과거가 되고 아직은 집행되지 않은 오늘의 유예가 미래가 될 것이며, 시간의 흐름속 이공간에서 내가 구사할 수있는 <신의 한수>는 적어도 없었던 것으로봐서 내가 기껏 요리할 수 있는 것은 언제나 현재였고 그 오늘을 삶의 정수를 백열하게 살도록 노력했으나 워낙 성취가 작아 훗날 되돌아봐 자긍스런 퇴적물로 추억될지는 정말 모르겠다. 다만 바라건데 어느덧 턱밑으로 바짝 다가온 미래에 미리 부담을 주어 오늘의 남루한 행색을 위로할 뿐인지도 나는 자신할 수 없다.

 

 

사실 돌아보면,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이 세상엔 좋은 학교 나오고 언변 좋은 사람들도 꽤나 많아 세상일에 일가견 하고 이른바 <포 뜨고 회치는> 사람들이 제법 있다. 그런 사람일수록 내 일상과 생계를 거들리 만무하니 내 생계는 수상쩍은 시절일수록 내가 막는 것이 온당했다. 델리에서 토마토를 썰건 어느 그로서리 캐쉬어대 뒤에서, 세탁소 행거 밑에서건 일용한 양식과 거룩한 생계는 나로 인해 계속되므로 잘난 그들과 견주어 초라할 이유가 없었다. 들에 있는 다람쥐도 공중을 나는 새도 다 그렇게 사는 것처럼 이 신산스런 보급투쟁에서 우리는 모두 다 영용한 전사라고 칭송받아 마땅할 것이다. 그것이 처절한 각오에서 뿜어져나온 좌절로 의뭉스럽게 뱉어낸, 살아 상투가 있나, 죽어 묫자리가 있나, 그렇게 떠는 능청이든 아니면 유려하게 외쳐댄 카페 디엠이건 양쪽 모두 이 개별적 삶을 통채로 스스로가 책임진다는 말은 분명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