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이 있다면

그녀가 한숨과 함께 눈물을 쏟는다. 이민국 의자에 앉아 차례를 기다리던 그녀는 “이제는 눈도 보이지 않는데요.”라며 고개를 묻었다. 어느 날 갑자기 남편에게 찾아 든 병마, 그는 지금 뇌암 말기 판정을 받고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먼 길을 떠날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제 겨우 61세의 남편은 이제 아내의 얼굴도 제대로 알아보지 못할 만큼 깊은 잠속에 빠져 있었다. ‘어쩌나, 어쩌나, 우리 남편 불쌍해서 어쩌나!”라며 안타까운 눈으로 남편을 바라보는 그녀, ‘조금 일찍 알았더라도 이렇게 되진 않았을 텐데.”라며 토해내는 그녀의 원망과 한숨으로 말하는 그녀, 그녀는 너무 기막힌 현실 앞에 남편의 야윈 손을 잡고 눈물만 쏟고 있었다. 그러나 후회해도 소용이 없었다. 남편은 이미 사형선고나 다름없는 시한부 인생을 살고 있었다. 아주 오래전, 누군가가 “주님은 우리에게 고통이 찾아올 것을 알려주는데, 무지한 인간들은 주님의 뜻을 외면하고 그것을 그냥 그렇게 지나쳐 버린다.”라고 했던 말이 떠오른다. 인간을 지극히 사랑하시는 주님께서는 내게 찾아올 병마를 미리 알려주시지만, 무지한 우리 인간들은 그것을 알지 못한다고 했다. 그의 말이 맞았다. 고통이 찾아 들기 전에 우리 몸 어딘가에 이상한 증상으로 그렇게 병마는 찾아 들지만, 무지한 우리 인간들이 그것을 무심히 지나쳐 버린다.

 

나는 그녀의 남편을 바라보면서 “당신은 지금 무슨 생각을 하십니까?”라고 묻는다. 그러자 그가 말했다. “내 아내를 보살펴 주시오”라고 말하고 있었다. 두 부부를 병실에 남겨두고 나오며 나는 깊은 생각에 빠져들었다. 만일 내게 무서운 병마가 찾아 든다면 나는 어찌할 것인가? 아마도 무서워 한참을 울겠지? 매일같이 저물어가는 해를 바라보며 주님께 매달릴까? 아니야, 그냥 그렇게 갈 수밖에 없겠지? 주님의 부르심에 거절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 수 없으니 내가 별 뾰족한 재주가 있나, 그냥 가야지, 그러나 아무리 생각해도 정답은 없었다.

 

얼마 전, 어느 장례식장에 갔을 때. 목사님께서 “슬퍼하지 마십시오. 지금 OOO 씨는 천당에서 주님과 함께 기쁨에 넘쳐 있을 것입니다. 그러니, 기쁜 마음으로 OOO 씨를 보내십시오.”라고 했지만, 그분은 과연 사랑하는 아내와 자식을 두고, 늙으신 노모를 두고 그렇게 기쁜 마음으로 떠나갔을까?”라는 생각을 했었다. 헤어짐은 슬픈 것이다. 더구나 영영 떠나가는 가족을 어떻게 웃으며 기쁘게 보내 줄 수 있을까? 그녀가 “이렇게라도 좋으니 제발 살아만 준다면 좋겠건만”이라며 중얼거리는 소리를 들었을 때, 나는 왜 그 목사님 설교 말씀이 생각났을까?

 

65세의 젊은 할아버지는 당뇨와 고엽제로 인해 이제는 더는 걸을 수 없게 되었고, 볼 수 없게 되었으며, 들을 수 없게 되었다. 게다가 말도 어눌하여 웬만한 말씀은 알아들을 수조차 없었다. 노인의 방 안에는 온통 이름 모를 약품과 의료기구들로 가득 차 있었다. “당뇨도 있었지만, 고혈압인데 무시하고 약을 먹지 않았어요”라며 때늦은 후회를 하고 있었다. “에구 죽을 때가 되면 죽겠지요. 그게 오히려 더 큰 행복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너무 힘든 생활고를 겪는 우리 이웃에게 기쁨을 주고 고통 속에 사는 이들과 고통을 함께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젊은 청년이 식품점 앞에서 손에 수갑을 차고 경찰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었다. 무엇인가를 훔치려고 했던 것 같았다. 글쎄 술을 훔치려고 했다면, 벌을 받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배가 고파 음식을 훔치려고 했다면 가슴 아픈 일이었다. 커다란 눈을 껌벅이며 차가운 수갑으로 두 손을 묶인 채 서 있던 청년.

 

남편의 죽음 앞에 땅을 치고 통곡하는 여인, 너무 힘든 생활 때문에 죽음이 기쁠 것이라는 노인, 우리가 갈 곳은 하늘나라라고 말하고 있지만, 넉넉하진 않아도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기쁨이 있다면, 그래도 한 번쯤 살아볼 만한 세상이 아니던가!
내일도 내가 오늘같이 어려운 이웃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이 허락할는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그들과 함께 고통도 슬픔도 그리고 눈물도 함께 할 수 있는 그 시간은 우리에게 있어 너무 소중하고 아름다운 순간이었다.
내일의 내 인생은 어떤 모습으로 맞이할 것인가, 청명한 하늘에 둥실 떠 있는 구름은 볼 수 있을까? 내 손때가 묻은 우리 집 구석구석을 다시 또 돌아볼 수는 있을 것인가?
과연 ‘기적’이라는 것이 있다면 슬픔과 고통을 겪고 있는 그들에게 작지만, 행복한 미소를 지을 수 있는 시간을 허락해 주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