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는 아무 이상이 없다는데 (3) – 기능적인 이상과 구조적인 이상

shutterstock_173985155-326x245
병원 검사에서는 아무 이상이 없는데 한의원에서는 이상이 있다고 하거나,
반대로 한의원에서는 괜찮다고 하는데 병원에서는 이상이 있다고 진단을 받는 경우에는 이처럼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일단 현대의학에서는 현재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곳을 ‘병에 걸렸다’고 진단하지만, 한의학에서는 이상 증상이 과거 처음으로 시작되었던 곳을 ‘병에 걸렸다’고 진단한다.
그래서 현대의학이 ‘지금 병증이 나타나는 곳’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진단학을 발달시켜왔다면,
한의학은 ‘지금 나타나는 병증의 원인을 거슬러 추적하는’ 변증학을 발달시켰다. 그 결과, 이 두 학문은 서로 다른 ‘대상’을 살펴보고 연구하면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게 되니,
이것이 필연적으로 동일한 환자를 두고도 한의원과 병원이 서로 다른 ‘분석 결과’를 내놓은(?) 또 하나의 이유가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두 학문의 학문적 바탕의 차이점은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질병의 ‘진단 기준’을 세우게 되었다.
지금 병증이 나타나는 곳을 중심으로 문제를 분석하는 현대의학은 필연적으로 눈에 보이는 ‘구조적인 이상’을 병을 판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보지만,
병증의 원인을 거슬러 추적하려는 한의학에서는 일련의 ‘기능적인 이상’을 중요기준으로 삼는다.
가령, 허리가 너무 아파 잘 거동하지 못하는 한 사람의 모습을 상상해보자.
한의학적인 관점에서는 이렇게 본인이 자각하고 외부에서도 관찰이 가능한 기능적인 이상을 호소하는 사람을 ‘병자’로 분류하고, 그 기능적인 이상상태를 치료의 대상으로 삼는다.
하지만 현대의학에서는 이 사람이 아무리 고통을 호소하더라도 x-ray나 MRI같은 검사를 통해 어떤 해부학적인 이상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이 사람을 일단은 ‘정상’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또 다른 이상이 발견될 때까지는 치료할 것이 없다라는 판단을 내리게 된다.
반대로 누군가 정기검진을 통해 허리에서 어떤 구조적인 이상을 발견하면, 현대의학은 그를 즉각적으로 ‘환자’로 분류하고 치료의 대상으로 삼지만,
한의학에서는 본인이 자각하는 통증이나 움직임의 이상이 없다면 굳이 그 사람을 ‘병자’로 구분하지 않고 치료도 하지 않는다.
이는 한의학에서는 기능의 이상 여부가 ‘병증’을 판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병증, 즉 몸의 이상상태를 분류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기준에서도 서로 큰 차이를 보이는 두 학문은 개성은 환자를 치료하는 목적에서도 서로 다른 상태를 추구한다.
약간의 과장을 더해 예를 들면, 디스크 환자가 지니고 있는 척추의 구조적인 이상이 외과수술적인 방법을 통해 교정 되었다면
아무리 환자가 허리의 여전한 통증을 호소해도 이는 현대의학적으로 ‘치료가 아주 성공적인’ 케이스가 된다.
또 반대로 아무리 허리의 통증이 사라졌어도 디스크 환자의 척주구조에 생긴 이상이 교정되지 않았다면 이는 현대의학에서는 ‘치료에 실패한 케이스’가 된다.
그러지만 한의학적인 관점에서 이를 바라보면 기능적 이상이 교정되지 않은 전자는 ‘치료에 실패한 케이스’가 되고,
비록 구조적인 이상은 남아있어도 기능적인 이상이 교정된 후자의 경우는 ‘치료가 매우 성공적인 임상 케이스’가 된다.
이러니, 한의원에서 (기능적인) 이상이 없다라고 하는데 병원에서는 빨리 치료를 하자 하고,
또 병원에서는 (구조적인) 이상이 없으니 치료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데도 한의원은 치료를 꼭 해야 한다고 하는 환자 입장에서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자꾸 발생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