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문화연대가 영화 ‘나랏말싸미’에 대해 “세종의 한글 창제 사실을 뒤집으려는 ‘의도’가 깔려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한글문화연대는 31일 보도자료를 통해 “영화나 연극, 방송극, 만화 등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데에 사실과 다른 허구를 바탕으로 삼는 일은 어쩔 수 없고, 상상력의 작동이라는 측면에서는 허구가 창작의 본질일 수도 있다”고 운을 뗐다.
그러나 “역사의 줄기마저 허구로 지어내는 순간 우리는 그러한 창작이 심각한 역사 왜곡을 저지를 수 있음을 경고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이 영화는 가정을 허구가 아니라 사실이라고 믿는 감독의 소신에 바탕을 두고 있어 일반적인 창작의 자유와는 결이 다르고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미 국어학계와 역사학계에서 정설로 자리 잡은 세종의 한글 창제 사실을 뒤집으려는 ‘의도’가 깔려 있는 것 같다.자칫, 세종을 남의 수고 가로채 자기 위신 세우려는 나쁜 임금, 못난 임금으로 몰아갈 위험이 매우 높다. 세종 시대의 사회 발전을 이루어낸 과학기술, 음악, 의학 등의 성과물에는 장영실, 이천, 박연 등 그 주역이 역사에 등장한다. 그렇듯이 조선왕조실록에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했다고 나오는 것은 오로지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했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가 있는 게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영화나 방송극에서 역사를 배우려 해서는 안 된다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 한 번 확인하면서, 그런 역사물을 볼 때에는 더더욱 역사적 사실을 찾아보길, 대중매체에서도 역사적 사실을 함께 다루어주길 바라는 마음을 밝힌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두 가지를 분명히 알아달라며 영화의 내용에서 역사적 기록과 다른 부분을 지적했다. 훈민정음 창제의 주역은 세종대왕인 점, 영화 속 등장하는 훈민정음 서문은 세종이 아닌 세조 때 나온 ‘언해본’의 서문인 점이다.
‘나랏말싸미’는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사들이 한글을 창제했다는 정설 대신, 승려 신미가 세종대왕을 도와 한글을 만드는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는 가설을 토대로 완성됐다. 이로 인해 개봉 후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이며 평점 테러를 받는 등 곤혹을 치렀다.
조철현 감독은 지난 29일 “신분과 신념의 차이에 연연해하지 않고, 제왕의 권위까지 버리면서 백성을 위해 처절하게 고민했던 세종대왕의 인간적인 면모를 그리고자 했다”며 “진심을 전달하고자 하는 소통과 노력의 부족으로 이런 점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했던 점을 너무나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진심을 전했지만 대중의 마음을 돌리진 못했다.
현재 박스오피스 상위권에서 밀려나며 더딘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다음은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입장문 전문이다>
영화나 연극, 방송극, 만화 등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데에 사실과 다른 허구를 바탕으로 삼는 일은 어쩔 수 없고, 상상력의 작동이라는 측면에서는 허구가 창작의 본질일 수도 있다. 물론 역사의 줄기까지 허구로 지어내는가 세부 사정만 허구로 그려내는가의 차이는 매우 크다. 그 경계가 어디라고 말하기는 어렵겠지만, 역사의 줄기마저 허구로 지어내는 순간 우리는 그러한 창작이 심각한 역사 왜곡을 저지를 수 있음을 경고하지 않을 수 없다.
영화 <나랏말싸미>는 한글 창제의 주역을 ‘신미대사’로 그리고 있는데, 이 영화는 이런 가정을 허구가 아니라 사실이라고 믿는 감독의 소신에 바탕을 두고 있어서 일반적인 창작의 자유와는 결이 다르고 위험하다. 이미 국어학계와 역사학계에서 정설로 자리 잡은 세종의 한글 창제 사실을 뒤집으려는 ‘의도’가 깔려 있는 것 같다. 자칫, 세종을 남의 수고 가로채 자기 위신 세우려는 나쁜 임금, 못난 임금으로 몰아갈 위험이 매우 높다. 세종 시대의 사회 발전을 이루어낸 과학기술, 음악, 의학 등의 성과물에는 장영실, 이천, 박연 등 그 주역이 역사에 등장한다. 그렇듯이 조선왕조실록에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했다고 나오는 것은 오로지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했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가 있는 게 아니다.
우리는 영화나 방송극에서 역사를 배우려 해서는 안 된다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 한 번 확인하면서, 그런 역사물을 볼 때에는 더더욱 역사적 사실을 찾아보길, 대중매체에서도 역사적 사실을 함께 다루어주길 바라는 마음을 밝힌다. 특히 두 가지만은 분명하게 아는 게 좋겠다.
첫째, 훈민정음 창제의 주역은 세종대왕임이 이제는 학계의 정설이다. 신미대사는 물론이요, 집현전 학자들도 결코 주역이 아니다.
훈민정음을 전공한 국어학자들이 쉽게 쓴 책을 참고하길 권한다. 둘째, 영화 막판에 훈민정음 서문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가 109자였는데 여기서 1자 줄여 108자로 만들어 훈민정음 창제 주역인 신미대사의 공을 기린다는 대목이 나오는데, 이 서문은 세종이 아니라 세조 때 나온 ‘언해본’ 즉 우리말로 풀어 한글로 적은 훈민정음 언해본의 서문이다. 영화에서는 당초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이 그랬다는 착각을 일으킨다. 세종 때 지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세종 서문은 한자로 적은 한문 문장으로, 글자 수는 54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