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끼, 경풍(驚風)

어린 아이가 자다 말고 갑자기 무서운 것을 본 것처럼 소스라치게 놀라 온 몸을 사시나무 떨 듯 떨때가 있다. 이처럼 사소한 자극에 소스라치게 놀라는 것을 우리는 흔히 ‘경(驚)끼’를 일으킨다 표현하고, 이렇게 온몸의 근육이 발작적으로 오그라드는 증상을 ‘경련’이라 한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증상들을 통틀어 경풍이라 부르는데 일반적으로 경끼, 간질, 열성경련, 뇌전증 등 현대의학에서 말하는 경련성 질환과 관련된 병명이 많다.

 

 

 

경끼를 일으키는 근본원인은…
급격한 증가하는 몸안에서의 열기.
경풍의 주 증상으로는 갑자기 의식을 잃고 눈과 입을 씰룩 거리며 입으로 거품을 내뿜고 혀를 깨물기도 하는 경련과 의식 장애가 있는데, 간혹 입술이 파랗게 질리고 이를 악물면서 손을 꽉쥐는 긴장성 증상들이 동반되기도 한다. 한의학적인 관점에서는 정신적인 충격으로 인한 급격한 감정의 변화, 식체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한 기혈이 정체되거나, 혹은 감기나 감염성 질환으로 인해 몸 안에서 급격히 생성되는 ‘열’을 그 원인으로 지목하였다. 물론, 꼭 경풍뿐만이 아니라도 한의학에서 일단 병명에 ‘풍’이라는 단어가 들어가게 될 경우 대부분 그 주 발병 원인에 급격한 변화로 인해 인체 내에서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열’을 지목한다.

 

 

 

경끼는 몸에 열이 많은 아이들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그래서 어른보다는 양기가 충만한 아이들이 기본적으로 몸에 더 열성을 많이 띠기에 경풍에 취약하다. 실제 통계적으로도 ‘경풍’은 대게 생후 6개월에서 6세 사이의 어린이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고, 이 중에서도 가장 발병울이 높은 시기는 1-2세의 젖먹이들이다. 젖 먹이들은 급성 설사나 대장염, 폐염, 성홍열, 뇌염, 뇌막염이 심할 때 높은 열을 내면서 설사와 함께 경련을 일으킨다. 또 경련발작이 소아에게 자주 나타나는 이유는 아직 해부학적으로 미숙한 뇌의 구조와 기능을 지니고 있는 어린이들이 정신적인 자극에 성인보다 매우 예민하게 반응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아직 성장중이고 변화중인 소아의 뇌는 정신적인 자극에 대응하여 감정적인 변화가 매우 쉽게 그리고 급격하게 나타난다.

 

 

 

경끼를 일으켰을때의 대처법은,
일단 경련이 일어난다면 우선적으로 조용한 곳에서 안정시켜 주는 것이 좋다. 특히 숨 쉬는데 지장이 없도록 옷도 풀어주고, 혀를 깨물지 못하게 이빨 사이에 천을 넣어주는 것도 경련발작(경풍)으로 인한 2차 피해를 예방하기에 좋은 방법이다. 일단 안정이 되면 꼭 가까운 병원이나 한의원을 방문해 경풍을 일으킨 원인에 대해 자세한 진단을 받고은 후에 원인데 따라 적합한 치료를 받아야만 예방을 할 수 있다. 일단 경풍의 증상이 나타났다는 것은 외부의 자극도 문제지만, 내 몸의 기본 균형상태가 그러한 갑작스런 자극들에 대해 대비할 수 없을 만큼 무너져 있거나 지나치게 약해져 있다는 뜻이기에 언제라도 비슷한 자극에 대응해 같은 증상이 반복적으로 재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한의학에서는 이렇게 여러번 경풍 증상이 자꾸 재발하다 보면 결국에는 간질병으로 발전하게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자꾸만 반복되는 경끼는 긴급처치보다 원인치료가 우선이다.
넘어져서 아프다면 무작정 진통제를 처방하기 보다는 우선 상처를 치료하고 넘어지게 된 원인을 돌아보는 것이 상식이지만, 경풍의 경우는 그렇지 않고 우선적으로 항경련제 같은 경련 억제제를 우선 처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는 증상의 억제에는 효과적일 지언정, 경풍이나 간질이 일어나게 된 근본 원인에서 오히려 시선을 돌아서게 함으로 병을 방치시켜 악화시키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경풍의 경우는 항경련제 사용같은 당장의 치료에서 반드시 한걸음 더 나아가 근본적인 원인치료를 병행해야만 한다는 것이 경풍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의 의의가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