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는 아무 이상이 없다는데…(1)- 병의 원인과 증상이 일치하지 않아서..

shutterstock_173985155-326x245

일선에서 임상을 하다 보면 본인은 분명한 이상증상이 있지만, 병원 검사 결과에서는 정상이라는 환자들을 수도없이 마주하게 된다.

이는 아무래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내 몸이 이상하다 싶을 때 가장 먼저 찾아가는 의료 기관이 ‘현대적인 진료 장비를 갖춘’ 일반 병원이며,

보통 한의원까지 찾아오는 경우는 이미 일선 병원에서 여러가지 ‘의학적 검사상’

정상이라는 소견을 받아 더 이상 치료를 해주지 않기 때문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한의원을 찾는 환자들은 공통적으로, 환자분 본인이 자각하는 병증과 병원에서의 검사결과 사이의 부조화로 인한 혼란을 가장 많이 호소한다.

‘분명히 여기 저기 불편하고 이전과 비교해도 확연히 정상은 아니라 느껴지는데 병원에서는 아무 이상도 없다고 하더라고요..’,

‘병원에서는 그냥 신경성이래요.’,

‘인터넷에 찾아보니 이런 경우 한의학적으로는 신장에 문제가 있다는데 병원에서는 신장에 아무 문제 없대요..’ 하는 식으로 말이다.

그럼 대체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일까? 병원에서 아무 이상이 없다는 진단을 받았으니 그 환자는 사실상 건강한 것일까?

그렇다면 대체 왜 건강한 몸에서 ‘이상신호’를 보내는 것일까?

만약 건강한 것이 아니라면 사실 이 환자는 병원검사에서 나타나지 않는 좀 더 심각한 질병을 앓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렇게 나는 분명히 아픈데 병원검사에서는 아무 이상 없다는 결과가 나오는

이유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한 의문의 종류만큼이나 실제 그 이유도 다양한데, 이번에는 그 각각의 이유에 대해 몇 회에 걸쳐 하나씩 소개해 보려 한다.

우선 본인의 경험에 비춰볼 때 이러한 사태(?)가 종종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몸의 이상증상이 나타나는 부분에서 꼭 그 이상 상태의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현실이다.

한의학에서 몸을 대하는 접근법과 몸을 대하는 방식이 현대의학의 그것과는 크게 달라,

한의학 적인 관점에서는 분명히 서로 밀접한 연관이 있는 조직들이지만 현대의학에서는 이 사이에 전혀 연관성이 없다고 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한의학에서 문제라 지적하는 부분을 현대의학에서는 문제가 아니라 하고,

심지어는 분명한 이상증상이 나타남에도 그 모든 것이 신경성, 즉 환자 개인의 상상의 상상에서 문제라고 보는 경우까지도 생기는 것이다.

일단, 현대의학과 한의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서로 다른 검사법이 서로가 볼 수 없는 부분을 보는데 유리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달에 힘입어, 우리 몸을 열어 보지 않고도 몸 안의 구석 구석을 직접 들여다보고

장기의 사진을 찍어보는 식의 검사법이 가능해진 지금, 현대의학에서는 이러한 검사법들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있다.

반면 한의학에서는 몸 안을 들여다 볼 수 없던 시절부터 행해지던 전통적인 진료법인 사진법(보고, 듣고, 묻고, 만져보는)을 아직까지도 사용한다.

얼핏 생각하면 직접 들여다보는 검사법이 훨씬 더 세밀하고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니 훨씬 좋은 것 같지만,

문제는 부분적인 디테일에 집중을 하다보면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대의학에서는 몸의 일부분에 이상이 생기면, 그 해당 부분을 매우 세밀하게 관찰하고 들여다 본다.

비염이 생기면 코안을 자세히 들여다 보고, 천식이 생기면 폐의 사진을 찍어 살펴보며,

피부에 아토피가 생기면 피부조직을 자세히 검사하는 식이다.

그렇게 해서 병의 원인을 증상이 나타나는 자리에서 찾게 되면 즉각 치료에 임하지만,

증상이 나타나는 곳에서 특별한 이상을 발견하지 못하면 검사는 거기에서 중단되는 것이다.

하지만 한의학에서는 서로 비슷한 역할을 하는 다른 조직들을 하나로 묶어 전체적으로 살펴보는 접근법을 취하는데,

이는 같은 역할을 하는 조직은 생리학적으로 모두 연결되어 있다는 한의학의 독특한 장부론에 의거하기 때문이다.

서로 같은 기능과 역할로 연결된 조직은 그 자체를 하나의 장부로 보기에 피부에 이상이 생긴 환자의 호흡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비염으로 고생하는 환자에게 기침을 자주 하는지를 묻는 식이다.

즉 코에서 나타나는 비염 증상이나 피부에 나타나는 병변의 원인을 폐에서 찾는 것이다.

이는 마치 숙련된 정비공이 머플러에서 나오는 매연의 원인을 찾기 위해 머플러가 아닌 엔진을 들여다 보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한의학적 관점에서 보면 병의 초기 단계에서는 보통 병의 원인이 되는

부분과 증상이 나타나는 부분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가,

점점 병이 진행되면서(퍼지면서) 서로 겹치는 부분이 많아진다고 본다.

이럴 경우 증상이 나타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세밀한 검사를 진행하는 현대의학식 진단법에서는 아무래도 이상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