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미병(治未病) : 병을 미리 고치는 보약

한의학에서는 잘 치료하는 이보다 건강을 유지시켜주는 이를 ‘명의’로 본다.
의학(醫學)의 사전적 정의는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조사하여 인체의 보건, 질병이나 상해의 치료 및 예방에 관한 방법과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의학의 본질을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과 ‘예방하는 방법’, 이 두가지에 두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중에서도 특히 ‘치료’에 중점을 두고 발전해 온 것이 ‘현대의학’이라면, 동양의 ‘한의학’은 치료보다는 ‘예방’에 초점을 맞추어 발전해 왔다는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현대의학에서는 ‘어려운 병’을 잘 고치는 능력을 ‘명의’의 기준으로 삼고, 한의학에서는 애초에 ‘병이 커지거나 시작되지 않게끔’ 해주는 능력을 ‘명의’의 기준으로 삼는다.

 

 

한의학의 치미병(治未病)은 현대의학의 예방의학과는 다르다
큰 병을 고치는 것보다는 작은 병을 미리 막는 이를 더 높이 평가하고, 작은 병을 미리 막는 것보다도 애초에 환자를 아플 일이 없게끔 해주는 의사를 가장 훌륭한 의사로 보는 이 독특한 관점이 바로 한의학의 정수라고도 할 수 있다. 그래서 한의학에서는 병이 오기 전에 미리 대처하는 방식을 따로 일컫어 치미병(治未病)이라 하였는데, 이 개념은 현대의학의 예방의학과도 그 추구하는 방향도 내용도 많이 다르다.

 

 

보약은 치미병의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우선, 현대 의학에서 말하는 예방의학이 질병 자체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한의학의 치미병은 질병이 아닌 몸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감기의 예를 들어 보자. 현대의학에서는 감기를 일으키는 병균을 연구해 그를 위한 ‘백신’을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투여하지만, 한의학에서는 여러 우리 몸에서 질병이 침투해 들어올 수 있는 허약해진 부분들을 미리 살펴 보강하는 식으로 병의 통로를 차단하는 방법을 취한다. 즉, 한의학에서의 치미병이란 병인에 상관없이 우리 몸 자체의 균형을 회복하여 병에 걸리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이 치미병의 대표적인 치료법 중 하나가 바로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보약이다. 흔히 기운을 복돋아 주고 입맛을 좋게 해주는 약 정도로만 생각하던 보약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허약해져버린 우리 몸의 상태를 보강해 주어 병이 들어올 수 있는 통로를 사전에 차단하는 적극적인 치료수단이 되는 것이다.
특히 격무와 스트레스에 자주 시달리는 현대인은 그만큼 몸의 균형이 만성적으로 깨어진 상태가 되기 쉬운데, 이럴 때 병이 발생할 때까지 기다렸다 치료하는 것은 너무 소극적인 자세이다. 보약과 같은 수단을 통해 병의 침입을 사전에 막아내는 적극적인 방법이 임상에서 더 좋은 효과를 보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보약의 대한 오해들
그래서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보약은 시기에 따라 맞춰 먹는 것보다는, 내 몸이 필요하다 느낄때 먹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보약은 봄, 가을에 먹는 것’이라는 속설은, 무더운 더위로 땀을 많이 흘려 기력이 쇠진해지기 쉬운 여름철과 추위로 인한 운동부족으로 몸이 약해지는 겨울철을 대비하여 몸이 약해지기 이전에 미리 미리 보강해 놓는 것이 치미병의 원리에서 온 것이지, 보약이 특별히 봄, 가을에 유독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은 아니다. 그래서 꼭 봄.가을이 아니더라도 몸의 기능이 약해졌거나 기운이 허해졌을 때라면 계절에 관계없이 언제라도 보약을 쓸 수 있다.
또 보약은 건강식품과도 다르다. 건강식품이 ‘어떤 음식을 먹고 누가 좋다더라’ 같은 다수의 경험에 근거하였다면 보약은 기본적으로 진맥을 통한 개별적인 환자의 상태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구에게나 효과가 좋은 홍삼이나, 공진단이라는 개념은 사실 보약보다는 건강식품에 가깝다.

 

 

언제 어떤 보약을 먹는게 좋을까…
보약을 복용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내 몸에서 우선적으로 보강해야 할 부분을 분별하는 것인데, 여기에는 크게 보기(補氣), 보양(補陽), 보혈(補血), 보음(補陰)의 네 가지 방법이 있다. 기와 양(陽)을 보한다는 것은 인체 활동력과 신체의 대사항진을 주관하는 기능을 도와준다는 의미로 몸이 나른하며 기운이 없고 숨결이 약하며 입맛이 없고, 설사를 쉽게하는 경향이 있을 때에는 기를 보하는 것이며, 허리 이하 아랫부분이 찬 느낌이 나고 허리와 무릎 등이 마르고 시리며 정력 감퇴, 조루증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 보양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 보음, 보혈은 혈액, 근육, 영양분과 신체 대사기능을 담당하는 음과 혈의 기능을 증강한다는 의미로, 안색이 누렇고 말랐으며 머리가 자주 어지러우며 머리결과 피부가 거칠고 여자의 경우 월경량이 적거나 불규칙적인 경우 보혈법, 몸이 마르고 입이 마르고 피부가 건조하고 기침을 하며 객혈(喀血)이 있는 사람과 열이 나며 뺨이 붉어지고 손바닥, 발바닥이 화끈거릴 때는 음을 자양하는 보음법(補陰法)을 사용한다. 그러나 보약을 이야기함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부족한 것이 넘치는 것보다 낫다’는 말처럼 자가진단에 따른 보약의 오•남용은 자칫 위험할 수도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