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고 싶은 것을 참으면 병이 된다?

내가 지금 먹고 싶어진 그 음식은.. 지금 내게 그 음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어느 날 갑자기 기름진 고기가 땡긴다거나, 이상하게 매콤한 찌개를 먹고 싶어질 때가 있다. 이는 체력이 떨어지면 배가 고파 음식이 먹고 싶어지듯이, 우리 몸에는 어떤 특정한 종류의 기운이 떨어질 때 그 모자란 기운을 보충할 수 있는 음식을 갈망하는 욕구가 생기는 메카니즘이 내제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여성들의 경우 임신했을때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뱃속의 태아를 위해 이러한 기본적인 본능들이 훨씬 더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태중의 아이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그 신체를 형성하기 위해 특정 영양소가 특별히 많이 필요해지는 시기가 있는데, 이때 산모가 먹고 싶어지는 음식들은 대부분 그 특정한 시기의 필요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 있는 음식이라 한다. 즉 산모가 입덧을 하며 특정한 종류의 음식을 원할 때는 이성으로 욕구를 억제하기 보다는 입맛이 가는대로 충분히 먹어주는 것이 태아와 산모의 건강에 더 유익하다는 이야기이다.

 

 

입맛대로 먹어야 건강하다
그렇다면 임산부가 아닌 일반인들의 경우는 어떨까? 몸에 좋은 것은 입에 쓰다는 말도 있는데, 우리는 건강을 위해 건강에 좋을 법한 맛없는 음식들을 항상 챙겨 먹어야 하는게 아닐까? 아니면 임산부처럼 그저 먹고 싶은 대로 먹어야 하는 걸까?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과식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만 주의한다면 가급적 입맛대로 먹는 것이 건강에도 좋다라고 본다.
자연과 우리 몸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운을 한의학에서는 그 특성에 따라 다섯가지로 나누어 편의상 오행이라는 이름으로 분류한다. 이 오행은 자연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표출되며 특히 음식의 특정한 맛으로 나타나는 것을 오미(五味)라 한다. 그러니 어떤 음식이 특정한 맛을 더 강하게 품고 있다면 이는 그에 해당하는 오행의 성질을 그 음식이 더 많이 품고 있기 때문이다.

 

몸의 체온에 올라가면 차가운 물을, 내려가면 더운 물을 가려 찾듯이, 우리의 체내에서 어떤 기운이 부족해지면 우리의 입맛은 자연스레 그 부족함을 채워줄 수 있는 기운을 담은 맛을 갈구한다. 그러므로 갑작스레 특정한 맛이 나는 음식에 대한 욕구가 생긴다면, 이는 우리의 몸이 해당 기운의 부족함을 인식하고 우리의 뇌에다 신호를 보내는 있기 때문이다. 즉 입맛이란 우리 몸의 부족한 오행의 기운을 알려주는 체내의 알람 시스템이다. 그러니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의 종류를 일일이 분석하는 것보다는, 입맛대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고 쉽게 우리 몸이 느끼는 부족함을 보충할 수 있는 더욱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편이 된다.

 

 

각각의 맛이 가진 효능
오미는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의 다섯가지 맛으로 구분하는데, 아 각각의 맛은 고유한 성질이 있다. 가령 신맛은 흩어진 것을 수렴하고, 쓴맛은 습한 것을 건조하게 하고, 단맛은 급한 것을 늧추고, 매운맛은 맺힌 것을 완화하고, 짠맛은 굳은 것은 연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질은 우리 몸속에 있는 특정 장기를 자극하여 각 장기가 가진 기능을 도와주는데, 이를 한의학에서는 신맛은 간을 돕고, 쓴 맛은 심장을 도우며, 단맛은 비장을 돕고, 매운맛은 폐를, 짠맛을 신장을 돕는다라고 표현하였다.

 

예를 들어 간의 기운이 떨어지거나 간이 특별히 더 많은 일을 해야만 하는 상황(음주나 임신같은…)에 처하게 되면 우리 몸에는 ‘신맛’에 대한 욕구가 생기게 되는데, 이럴 때는 그저 입맛대로 “신맛”이 나는 음식을 먹으면 간에 도움이 된다. 다만, 신맛을 지나치게 먹으면 간의 기운이 넘쳐 쌓이게(정체) 되는데 이또한 다른 종류의 병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유의하자. 만약 이런 경우가 생기면 한의학에서 사법이라 하여 간의 기운을 억제하기 위해 매운맛의 음식을 섭취하여 폐의 기운을 보충하면 오행의 관계에 따라 간의 기운이 진정된다.

 

 

내가 지금 먹고 싶은 그 음식이 재료 자체의 맛 때문인지 양념의 맛 때문인지는 구분해야…
물론 과유불급이라 하여, 좋아한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특정 음식을 지나치게 섭취한다면 이것이 병의 원인이 된다. 하지만 평소에는 잘 찾지 않던 특정한 입맛에 대한 욕구가 갑자기 생긴다면 이는 어쩌면 우리 몸에서 보내는 ‘특정한 영양소와 기운의 충전을 위한 필요성’에 대한 신호라 볼 수 있다. 문제는 한국인의 요리문화가 보통 재료 자체의 맛 보다는 갖은 양념의 맛을 즐기는 식으로 발전되어 왔기에 우리가 땡기는 입맛이 ‘음식의 재료가 가진 기운’ 그 자체보다 ‘특정 양념이 주는 자극성’에 대한 끌림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우선은 최대한 인공적인 양념이 배제되어 재료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는 식으로 조리된 음식을 즐기는 식 습관으로 먼저 바꾸고 나서, ‘입맛대로 먹는’ 습관을 가진다면 더욱 더 좋을 것이다.